들어가기 전에
font-family는 상속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대표 폰트를 선언하고,
특정 폰트가 필요한 부분에서 재정의해서 사용합니다.
구문을 사용하면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이 부분에 유의하여 강의에 집중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핵심키워드
- family-name
- generic-family
- serif
- sans-serif
학습하기
들어가기 전에
font-family는 상속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대표 폰트를 선언하고,
특정 폰트가 필요한 부분에서 재정의해서 사용합니다.
구문을 사용하면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이 부분에 유의하여 강의에 집중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핵심키워드
학습하기
font-family 속성
글꼴을 지정하는 속성입니다.
font-family: family-name | generic-family ( | initial | inherit );
font-family: Helvetica, Dotum, '돋움', Apple SD Gothic Neo, sans-serif;
가장 먼저 Helvetica를 사용하고, 이를 사용할 수 없을 때 Dotum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차례대로 적용 됩니다. 만약 "abc 가나다 123" 이라는 글자가 있다면, "abc"와 "123"은 Helvetica로 표현이 되고, "가나다"는 Dotum으로 표현이 됩니다.
"가나다"가 Dotum으로 표현된 이유는 Helvetica는 한글을 지원하는 폰트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예를 보면 돋움체를 영문으로 한번, 한글로 한번 선언 하였습니다. 왜 이렇게 선언 하였을까요?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 디바이스일 경우 해당 한글 폰트를 불러올 수 없으므로 영문명으로도 선언해 주어야합니다. 마지막에는 반드시 generic-family를 선언 해주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선언된 모든 서체를 사용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때 generic-family를 선언해주면, 시스템 폰트 내에서 사용자가 의도한 스타일과 유사한 서체로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식 요소에서 font-family를 재선언하면 부모에 generic-family가 선언되어있어도 다시 선언해주어야 합니다.
Generic-Family에는 대표적인 서체로 serif, sans-serif가 있습니다. serif는 삐침이라는 뜻이고, sans는 프랑스어로 '~이 없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serif는 글자 획에 삐침이 있는 폰트로 대표적으로 명조체가 있으며, sans-serif는 획에 삐침이 없는 폰트로 대표적으로 돋움체가 있습니다.
생각해보기
참고자료
https://developer.mozilla.org
http://shyfon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