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계속해서 리스트와 관련된 내장 함수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습목표
리스트를 이해하고 내장 함수를 활용해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
핵심 키워드
- 리스트
- 내장 함수
학습하기
들어가기
계속해서 리스트와 관련된 내장 함수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습목표
리스트를 이해하고 내장 함수를 활용해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
핵심 키워드
학습하기
학습자료
연산자 활용
리스트 병합
리스트 타입도 '+' 연산자를 활용해서 서로 다른 리스트를 더할 수 있습니다.
a = [1, 2, 3]
b = [4, 5, 6]
c = a + b
print(c)
# [1, 2, 3, 4, 5, 6]로 출력됩니다.
리스트 슬라이싱
리스트도 :(콜론)을 이용해 자를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예를 들어 t[1:3]과 같은 경우 3번째 인덱스에 해당하는 항목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t = [9, 41, 12, 3, 74, 15]
print(t[1:3])
print(t[:4])
print(t[3:])
print(t[:])
# [41, 12]
# [9, 41, 12, 3]
# [3, 74, 15]
# [9, 41, 12, 3, 74, 15] 로 출력됩니다.
dir() 메소드
특정 타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의 목록들을 볼 수 있는 함수도 있습니다.
x = list()
print(dir(x))
리스트 만들기
빈 리스트 만들기 - 항목 추가하기 - 항목 정렬하기 - in을 활용해 'Glenn'이 친구 목록에 있는지 확인하기
friends = list()
friends.append('Joseph')
friends.append('Glenn')
friends.append('Sally')
print(friends)
# ['Joseph', 'Glenn', 'Sally']
friends.sort()
print(friends)
# ['Glenn', 'Joseph', 'Sally']
print('Glenn' in friends)
# True로 출력됩니다.
comment
비공개 글입니다.
비공개 글입니다.
3
0807
20220804 수강완료
"Up to but not including"
끝 숫자는 항상 미만의 범위 입니다. 제가 앞으로도 계속 말할 것입니다.
friends.sort() -> 결과값을 변수에 저장하지 않았는데 friends 값이 자체적으로 변경이 되는 내장함수인가요?? sort() 라는 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