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에
지금까지 배워온 클래스와 인스턴스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번 시간에는 실전 문제를 클래스와 인스턴스를 이용해서 풀어 봅시다.
학습 목표
클래스와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실질적인 우리의 문제를 풀어 봅니다.
핵심 단어
- 클래스
- 인스턴스
강의 듣기
들어가기 전에
지금까지 배워온 클래스와 인스턴스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번 시간에는 실전 문제를 클래스와 인스턴스를 이용해서 풀어 봅시다.
학습 목표
클래스와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실질적인 우리의 문제를 풀어 봅니다.
핵심 단어
강의 듣기
실전 문제 풀이
지난 챕터에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율을 이용해서
부가가치세와 총 가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시나요?
이번 시간에는 클래스를 이용해서 이 문제를 풀어 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합니다.
우선은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 클래스 자체만으로 문제를 풀어 봅니다.
class Accounting{
public static double valueOfSupply;
public static double vatRate = 0.1;
public static double getVAT() {
return valueOfSupply * vatRate;
}
public static double getTotal() {
return valueOfSupply + getVAT();
}
}
public class Accounting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ccounting.valueOfSupply = 10000.0;
System.out.println("Value of supply : " + Accounting.valueOfSupply);
System.out.println("VAT : " + Accounting.getVAT());
System.out.println("Total : " + Accounting.getTotal());
}
}
Accounting 클래스를 새로 정의해서 valueOfSupply, vatRate를 static 필드로 두고
마찬가지로 getVAT, getTotal의 static 메소드를 구현합니다.
이를 통해 회계라는 큰 범주의 이름을 가진 클래스에서
공급가, 부가가치세율, 총 가격 등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그리고 IDE 프로그램에서 자동완성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생각해보기
1) 이 정도로 만족하시나요? 만족하지 않으신다면 어떻게 더 바꾸고 싶으신가요?
comment
기본 데이터를 입력도 받고 엑셀로 읽을수도있으며
결과화면을 보고 수정도 하며 출력도 가능하고 엑셀로 저장도 되게 하고싶어요 ㅋㅋ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율을 기본값으로 넣을 수 있도록 수정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