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께서 저번에 말씀하셨었는데 안드로이드를 위한 자바 기초강의를 찍으셨다고 하셨는데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마지막에 user 아이콘을 원으로 클리핑하는 과정 중, build.gradle의 내용이 다른데 다른 분들도 그러신가요?
dependencies라는 내용은 없고 <path ~~~ 이런것만 있네요ㅠㅠ..
onClick에서 상태에 따라 버튼이미지를 바꾸는 코드를 따로 작성할 거면 애초에 button background를 selector로 지정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
selector로 pressed 상태를 다르게 적용시-> 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 배경이 바뀐다
여기서 메인에서 onClickListener를 새로 만들면 -> selector 효과는 사라지고, 버튼을 눌렀다 뗐을 때 배경이 바뀐다 (누르고 있을 땐 변화x)
그래서 처음에 버튼 배경으로 selector를 만드는 건 불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된다..
비공개 글입니다.
selector.xml을 배경으로 지정한경우는 clik 되었을때 자동으로 배경이 변하나요?
저기 셀렉트 붙는조건이 뒤에 xml를 입력해주어야 자동으로 만들어지나요?
레이아웃이서 리소스 만드는거랑 드로으에이블 에서 리소스 만드는 거랑 다른가요? 드로우에이블에서는 콘스트레이트 레이아웃이 붉게 빛나네요 레이아웃에서는 임의로 셀렉트 작성하니 붉은글씨뜨구용
이제 다음 강의를 확인하세요.
comment
교수님께서 저번에 말씀하셨었는데 안드로이드를 위한 자바 기초강의를 찍으셨다고 하셨는데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마지막에 user 아이콘을 원으로 클리핑하는 과정 중, build.gradle의 내용이 다른데 다른 분들도 그러신가요?
dependencies라는 내용은 없고 <path ~~~ 이런것만 있네요ㅠㅠ..
onClick에서 상태에 따라 버튼이미지를 바꾸는 코드를 따로 작성할 거면 애초에 button background를 selector로 지정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
selector로 pressed 상태를 다르게 적용시-> 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 배경이 바뀐다
여기서 메인에서 onClickListener를 새로 만들면 -> selector 효과는 사라지고, 버튼을 눌렀다 뗐을 때 배경이 바뀐다 (누르고 있을 땐 변화x)
그래서 처음에 버튼 배경으로 selector를 만드는 건 불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된다..
비공개 글입니다.
selector.xml을 배경으로 지정한경우는 clik 되었을때 자동으로 배경이 변하나요?
저기 셀렉트 붙는조건이 뒤에 xml를 입력해주어야 자동으로 만들어지나요?
레이아웃이서 리소스 만드는거랑 드로으에이블 에서 리소스 만드는 거랑 다른가요? 드로우에이블에서는 콘스트레이트 레이아웃이 붉게 빛나네요 레이아웃에서는 임의로 셀렉트 작성하니 붉은글씨뜨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