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에
지금까지 배운 함수는 실행할 때마다 정해진 코드를 실행해주는 함수였습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약간씩 다른 코드가 실행되도록 만들어 준다면 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겠죠? 이번 시간에는 매개변수와 인자를 활용해서 이러한 코드를 구현해봅시다.
학습 목표
매개변수와 인자를 이용한 함수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핵심 단어
- 매개변수
- 인자
- 함수
강의 듣기
들어가기 전에
지금까지 배운 함수는 실행할 때마다 정해진 코드를 실행해주는 함수였습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약간씩 다른 코드가 실행되도록 만들어 준다면 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겠죠? 이번 시간에는 매개변수와 인자를 활용해서 이러한 코드를 구현해봅시다.
학습 목표
매개변수와 인자를 이용한 함수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핵심 단어
강의 듣기
함수의 입력과 출력
함수는 자판기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저번 시간에 배운 함수는 마치 버튼이 1개만 있는 자판기와 같은 것이죠. 항상 같은 코드를 반환해주는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판기의 버튼을 여러 개로 늘려보겠습니다. 원하는 코드에 대해 알려주면, 이에 해당하는 적절한 코드를 반환해주는 함수이죠. 이를 입력과 출력이라고 부릅니다.
매개변수와 인자
즉, 함수는 입력과 출력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입니다. 이 때 입력에 해당하는 것을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자(Argument)라고 부르고, 출력에 해당하는 것을 리턴(Return)이라고 부릅니다.
다음과 같은 함수가 있다고 해 봅시다.
function onePlusOne() {
document.write(1+1);
}
이 함수는 항상 1과 1을 더해서 출력해주는 함수이죠.
하지만, 입력값을 받아서 거기에 따라서 다른 결과를 출력하도록 만들어 봅시다. 예를 들어서 sum(2,3)을 한다면 5가 출력되도록, sum(1,6)를 하면 7이 출력되도록 만들어 봅시다.
function sum(left, right) {
document.write(left + right);
}
이 때 sum의 괄호 안에 들어오는 두 숫자를 각각 left, right라는 변수에 넣는 것이죠. 이 때 이러한 변수를 매개변수라고 부릅니다.
이제 이렇게 정의한 함수를 사용해봅시다.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겠죠.
sum(2,3);
이 때 sum의 괄호 안에 넣어서 함수로 전달해주는 저 숫자 2, 3을 보고 인자라고 부릅니다.
생각해보기
1)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는 무엇일까요?
function hello(i, j, k) {
document.write(i + j - k);
}
hello(2, 3, 1);
comment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2+3-1 = 4
4
2+3-1 이므로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