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에
마이크로소프트의 ASP(Active Server Pages)와 같은 스크립트 형태의 개발 방법이 인기를 얻게 되면서, 자바 진영에서도 대항하기 위해서 JSP를 발표하게 됩니다.
스크립트 언어인 JS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습 목표
- jsp가 무엇인지 이해한다.
- jsp의 간단한 사용법을 알아본다.
핵심 개념
- jsp (java server page)
학습하기
들어가기 전에
마이크로소프트의 ASP(Active Server Pages)와 같은 스크립트 형태의 개발 방법이 인기를 얻게 되면서, 자바 진영에서도 대항하기 위해서 JSP를 발표하게 됩니다.
스크립트 언어인 JS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습 목표
핵심 개념
학습하기
실습코드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title>sum10</title>
</head>
<body>
<%
int total = 0;
for(int i = 1; i <= 10; i++){
total = total + i;
}
%>
1부터 10까지의 합 : <%=total %>
</body>
</html>
JSP 등장 배경
생각해보기
참고 자료
http://download.oracle.com
comment
과거에는 WebContent였나보네요. 현재는 webapp이라는 이름으로 되어있습니다. 없다고 당황하지 마세요!
24.04.02.
jsp는 html파일에 표현식들의 추가를 통해 java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편리한 것같습니다. servlet은 그에 반해 servlet클래스안에 servlet함수들을 통해서 자바 코드를 작성하고 html도 println과 같은 입출력문을 통해 작성해야한다는 부분이 jsp에 비해서 불편합니다.
여자분이 알아먹기 쉽게 잘설명하시네요
jsp(java server page)는 기존의 서블릿에서 웹 개발을 좀 더 쉽게 하기 위해 고안됨.
형식은 html문서와 비슷하지만 html안에 자바 프로그래밍을 넣을 수 있음.
모든 jsp는 결국 서블릿으로 바뀌어서 동작함. 따라서 jsp가 서블릿으로 바뀌면 어떻게 동작할 지를 생각해보는 것이 좋음.
1-10까지 합을 구하는 웹 페이지를 구현하는 데 jsp가 서블릿에 가독성 면에서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됨
220215
21.8.17
210805
HTML표준에 따라 작성되므로 웹 디자인에 편리하다.
210621
21.05.09
html부분을 쓰기가 쉽다.
jsp는 서블릿으로 바뀔거다. html처럼 실행되는게 아니라 서블릿으로 바뀌어서 이 바뀐서블릿이 실행되니까
라이프사이클이 서블릿의 실행방식과 똑같다
그렇다면 오늘날에는 서블릿에 직접작성보다는 jsp를 이용해서 간편하게 작업을하나요?
jsp는 실행시 서블릿 코드로 바뀐 후에 실행되고 서블릿의 라이프 사이클을 가진다
비공개 글입니다.
한줄이라면 몰라도 여러줄을 표현하는데에 있어 훨씬 가독성도 좋고 코드 작성도 쉽죠.
HTML 태그를 작성하는데 있어 번거로움이 없습니다.
'<%@'는 지시자, '<%='는 표현식
JSP가 html 과 비슷하다고해서 html처럼 실행되는 것이아니라 항상 서블릿으로 바뀔 거고 바뀐 서블릿이 실행되는 것이다.
서블릿은 말씀하신대로 out.print() 안에 내용을 넣어서 작성하게해야되어서 보기가 불편했는데 그런 점을 JSP에서는 해결해 주는 것 같아서 더 편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서블릿에서는 html 코드가 길어지면 상당히 보기에도 불편하고 만드는 것에서도 out.print()를 이용하면 정말 불편하였는데 jsp에서는 이런 점들을 간단하게 만들어줘서 편리함을 느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