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 설계자 이야기
03. 이 코스를 개발한 전문가들 (BE)
- 강경미님 / 웹 프로그래밍 코스 설계자
- 삼성 멀티캠퍼스, 비트교육센터 등에서 JAVA 프로그래밍, 웹 프로그래밍, Spring 프레임워크 등을 교육했고, 삼성SDS에서 다년간 신입사원교육, 역량강화교육, IT Master 교육 등에 참여했습니다. 서경대, 건국대, 포스코, 뱅크웨어글로벌 등 여러 학교와 기업에서 교육을 진행하기도 하였습니다. T3Q(주)에서는 UML을 이용한 분석/설계를 했습니다. (주)써니베일에서는 협업 개발 도구를 만들기 위해 UML을 이용해 분석/설계와 함께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이용해서 개발을 진행했습니다. 좀 더 나은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프로그래밍을 배우려는 분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 주된 관심사입니다.
자바를 공부한 후 자바를 이용해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과정입니다.
원하는 시간에 공부 할 수 있고 여러번 반복해서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의 장점과 함께 본인이 만든 코드를 리뷰받을 수 있어서 온라인 교육에서의 아쉬웠던 부분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교육입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언어인 자바와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공부 할 수 있고, 자바로 풀스택을 교육하는 과정 중에 프론트 부분까지 균형있게 배울 수 있는 유일한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웹 개발이야기
- 전용우 / NAVER / 설계 감수자
- 네이버 메일을 비롯하여 다수의 Single-Page Application을 개발했고, egjs와 같은 여러 라이브러리를 개발했습니다. 현재는 트러블 슈팅, 성능 튜닝, 개발 환경 구축 등 기술 지원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NHN NEXT에서 웹 UI 분야를 3년 정도 강의했고, 삼성전자 등 다수의 기업에서 강의 경험이 있습니다. 인터랙션과 브라우저 내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스트코스 학생들에게/ 참여한 분들의 강의, 현업 경험을 바탕으로 웹개발자로 성장하기에 필요한 전반적인 내용을 과정에 반영했습니다. 또한 어떻게 컨텐츠를 만들고 어떻게 학습해야 지속적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 것인가에 대해 고민 했습니다. 웹개발자로 성장하려는 분들에게 이 과정은 좋은 시작점이 될 것입니다.
- 정상혁 / NAVER / 설계 감수자
- 네이버에서 협업플랫폼, 사내 Java 공통 모듈, 개발자센터 (developers.naver.com)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노메드 엔지니어'라는 역할로 주소록, 금융 등 네이버의 여러 서비스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투입되기도 했습니다.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 교육과 프로젝트에 강사와 멘토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부스트코스 학생들에게/ 웹개발자로 성장하는데 밑거름이 되는 지식을 탄탄하게 담아낸 교육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전달하는 프런트엔드, 백엔트의 스펙과 기술들을 차근차근 학습해간다면, 실행되는 코드를 만드는 개발자를 넘어서 바탕을 이해하는 개발자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한홍택 / 키즈테크랩 / 컨텐츠 감수자
- NHN, 한게임에서 자바 웹서비스 개발을 시작하여 배민프레시(현 배민찬) 개발을 총괄했습니다. 현재는 아이들을 위한 알고리듬 기반 맞춤 동화책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Java 를 주 언어로 하지만 PHP, Node.js, Python 언어들에도 관심을 가지고 프론트엔드 개발에도 귀를 열어두고 있습니다. 대가들의 코드들을 동경하며 그렇게 되도록 늘 공부하고 있습니다.
부스트코스 학생들에게/ 서비스가 사용자와 만나는 지점에서 최고의 경험을 제공하는 프론트엔드 개발과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기 위해 각 도메인들간 관계를 구성하고 데이터/시스템 구조를 설계하며 사용자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백엔드 개발을 시작하기에 훌륭한 강의입니다. 학습 단계에 맞추어 학습자에게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강의 방식이 강점입니다.
- 정대선/ StudioXID/ 컨텐츠 감수자
- 현재 StudioXID에서 프로토타이핑 툴인 ProtoPie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그 전에는 네이버지도 Front-End 개발팀을 리드하였습니다. Front-end 기반기술, 성능엔지니어링, 코드품질에 관심이 많습니다.
comment
24.07.29
24.03.27.
23.09.01
230517
thanks~~~ 감사합니다.
23.01.03
23.01.02
22.12.09
22.11.22
22.10.11
2022.08.02
22.06.10
22/04/03
2022.03.07
2022.02.28.(월)
2022.2.3
21.12.31
12.10
2021.07.01
2021. 06. 14